PolicyChain

Democratic Participation Platform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정책 결정에 투표하고 보상을 획득할 수 있는
지속적이고 경제적 가치가 있는 차세대 투표 시스템

현재 투표 시스템의 핵심 문제점

투표의 신뢰성 문제

투표 과정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조작 가능성에 대한 의혹이 지속되고, 중앙화된 집계 시스템에 대한 신뢰 부족으로 결과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상황

투표 시스템의 문제점

선거 때만 잠깐 정치에 관심을 가지는 일회성 참여이며, 찬성/반대만 표시할 뿐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알 수 없고, 잘못된 선택을 해도 개인이 직접적인 손실을 받지 않는 구조

코인의 변동성 문제

하루에도 10-20% 이상 급등락하는 불안정한 가격으로 인해 안정적인 화폐 역할을 할 수 없고, 실제 사용보다는 단기 차익을 노린 투기 수단으로 전락

"기존의 투표 시스템은 신뢰성이 없고, 간헐적이며, 불투명한 시스템에 의존"

Skin-in-the-Game 민주주의

1

커뮤니티 기반

정책에 대한 진중한 토론

2

정책 선택

관심있는 정책을 선택

3

KRW 스테이킹

확신도에 따른 투자

4

결과에 따른 보상

정책 성과에 따른 보상/손실

지속적 참여

언제든 정책에 참여 가능

지지도 표출

스테이블 코인 투자로 지지도 표현


투명한 투표 결과

탈 중앙화로 신뢰성 있는 결과

경제적 인센티브

좋은 결정에 대한 보상

제품 데모

www.policychain.kr
PolicyChain Demo Screenshot

기술 스택

Frontend

ReactJS v18 (TS)
Ethers.js
Wallet Connect

Blockchain

Kaia Network & Testnet
Solidity, TS
Truffle Framework

Web3 Integration

KRW 스테이블코인
Staking System
Smart Contracts

Web2 처럼 친숙한 Web3로 접근 가능성을 높이다

복잡한 블록체인 용어 없이, 친숙한 Web2 UX로 Web3의 투명성과 불변성을 제공합니다.

코드 예시

스테이킹을 통한 투표 (stakeOnPolicy)

스테이킹 코드 예시 1

보안 검증 및 초기 투표자 보너스

스테이킹 코드 예시 2

스테이크 데이터 구조 생성 및 사용자 프로필 업데이트

코드 예시

투표 종료 후 리워드 수령 (claimRewards)

리워드 수령 코드 예시

안전한 리워드 분배 및 상태 업데이트

핵심 기능

스테이킹 투표

KRW 스테이블 코인으로 리스크 제로
확신도 기반 투표, 행동 기반 리워드 제공
안정적인 수수료 수익으로 경제적 효과

블록체인의 투명성

모든 투표 공개
실시간 투표 현황
투명성 및 익명성 보장
위변조 불가능

커뮤니티 기능

정책에 대한 정보 및 동향 파악
커뮤니티에서 정책별 토론 가능
추후 LINE DApp 알람 연동 가능

Skin-in-the-Game 방식의 지속적 민주주의

경제적 확신도로 의견을 표현하고 결과에 따른 책임을 지는 새로운 참여 방식

인프라 확장 가능성

정부 기관

  • 예산 배정에 대한 결정
  • 내부 정책 검토
  • 행정 개혁 관련 투표
확장 가능

기업

  • 주주총회 투표시 활용 가능
  • 직원 정책에 대한 피드백
  •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 가능
확장 가능

교육 기관

  • 학생회 선거 관련 투표
  • 커리큘럼 결정에 활용 가능
  • 자원 배분시 활용 가능
확장 가능

수익 모델 (Beta)

B2B 라이선스

플랫폼 구축
기업 주주투표
대학 연간 라이선스

B2G 라이선스

플랫폼 구축
스테이킹 수수료
정부기관 월 구독

부가 서비스

프리미엄 분석
맞춤형 대시보드
API 사용료

B2B 중심의 지속가능한 수익 모델

일반 시민의 부담은 최소화하고 기관 고객을 통한 안정적 수익을 확보하여 공공성과 수익성을 보장합니다.

경쟁 우위

기존 전자투표 시스템

단순 찬성/반대만 가능
일회성 참여
조작 가능성 존재
경제적 인센티브 없음
투명성 부족
VS

PolicyChain

확신도 기반 스테이킹
스테이블 코인으로 리스크 안정성 확보
블록체인 투명성
성과 기반 보상
지속적 참여 가능한 경제 시스템

다음 단계

1

단기 목표 (1-3개월)

  • 대규모 동시 사용자 처리 개선
  •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감사
  • 지자체 파일럿 테스트 진행
  • 사용자 피드백 반영 및 UX 개선
2

중기 목표 (3-6개월)

  • 정부 기관과 정식 연계 구축
  • B2B 고객사 확보 및 상용화
  • LINE DApp 정식 런칭
  • 추가 블록체인 네트워크 지원
3

장기 비전 (6개월+)

  • 전국 규모 정책 참여 플랫폼
  • 기업 및 교육기관 확산
  • 아시아 다른 국가로 확장
  • AI 기반 정책 분석 기능 추가
정책 제언 보고서: 민병덕 의원실 전달을 통한 정부 연계 구축
투자 연계: Kaia Wave, 심산 벤쳐스와의 후속 미팅

민주주의의 새로운 시대를
PolicyChain과 함께

가끔씩만 하는 민주주의에서
매일 하는 민주주의로

실제
동작하는 시스템
준비
완료된 상용화
혁신
적인 민주주의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언제든 말씀해 주세요

제1회 대한민국 스테이블코인 해커톤
|
|
1 / 14